Python 마스터 하기 3. 문자열 함수

2022. 8. 8. 21:30·Python/개념 및 정리
반응형

문자열 함수는 자바나 C언어에서도 중요하지만 파이썬의 문자열 함수는 조금 특이하다.

 

문자열 함수는 크게 5가지로 나눠서 설명하겠다.

 

1. format 함수

2. upper/lower 함수

3. is~~ 함수 (문자열 구성 파악하는 함수)

4. find & rfind 함수

5. 문자열과 in 연산자

 

 

1. format 함수

format 함수를 사용하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거나 정수를 다양한 형태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1-1 문자열의 format() 함수

중괄호{}를 포함한 문자열 뒤에 마침표를 찍고 format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1
2
3
a = "{}".format(123)
print(a)
print(type(a))
cs

 

위 코드의 출력값

이때 format 함수를 사용해 123이라는 숫자를 문자열로 바꾼걸 확인할 수 있다.

format 함수 안에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 그리고 boolean까지 넣을수 있다.

 

1
2
3
4
5
6
a = "당신은 파이썬을 잘합니까? {}".format(True)
b = "내가 최근에 재밌게 본 영화: {}".format("탑건")
c = "{} {} {}".format(1,"ABC",False)
print(a)
print(b)
print(c)
cs

 

위 코드의 출력값

 

1-2 정수를 다양하게 출력하는 format 함수

정수를 특정 칸에 출력하기, 빈칸을 0으로 채우기, 양수,음수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1
2
b = "{:5d}".format(50)
c = "{:10d}".format(50)
cs

첫번째 줄은 5칸을 빈칸으로 잡고 뒤에서부터 50이라는 숫자를 채웠습니다.

두번째 줄은 10칸을 빈칸으로 잡고 뒤에서부터 50이라는 숫자를 채웠습니다.

*이때 빈칸으로 잡고 뒤에서부터 숫자를 채우므로 첫번째 줄의 앞의 빈 칸은 (5-2) 3칸입니다.

 

1
d = "{:05d}".format(50)
cs

5칸을 빈칸으로 잡고 뒤에서부터 52라는 숫자를 넣고 앞의 빈 곳을 0으로 채웁니다.

 

1
2
3
a = "{:+d}".format(52)
b = "{:+d}".format(-52)
print(a , b)
cs

d 앞에 +기호를 붙이면 양수와 음수 기호를 표현할수 있습니다.

 

2. upper / lower  함수

Java를 하신분이라면 이름만 보고 대충 유추하실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upper 함수는 문자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lower함수는 소문자로 만듭니다.

 

1
2
3
4
5
a = "My name is Kevin"
a = a.upper()
print(a)
a = a.lower()
print(a)
cs

 

두번째 줄에서 upper함수를 이용해 a의 알파벳을 대문자로 만들었다.

네번째 줄에서는 lower함수를 이용해 a의 알파벳을 소문자로 만들었다.

 

3. is ~ 함수

1. isalnum 함수

- 문자열이 알파벳 또는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2
3
a = "Alphabet"
b = a.isalnum()
print(b)
cs

출력값: True

2. isalpha 함수 

-문자열이 알파벳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2
3
4
a = "Alphabet"
b = a.isalpha()
print(b)
cs

출력값: True

 

3. isdecimal 함수

- 문자열이 정수 형태인지 확인합니다.

1
2
3
4
a = "Alphabet"
b = a.isdecimal()
print(b)
 
cs

출력값: False

 

4. isdigit 함수

- 문자열이 숫자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합니다.

1
2
3
a = "123"
b = a.isdigit()
print(b)
cs

출력값: True

 

5. islower 함수

- 문자열이 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2
3
a = "orangutan"
b = a.islower()
print(b)
cs

출력값: True

 

6. isupper 함수

-문자열이 대문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1
2
3
a = "orangutan"
b = a.isupper()
print(b)
cs

출력값: False

 

 

4. find & rfind 함수

find 함수: 문자열의 왼쪽부터 찾아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찾습니다.

rfind 함수: 오른쪽부터 찾아서 처음 등장하는 위치를 찾습니다.

 

1
2
3
4
5
a = "파이썬파이썬재밌어"
b = a.find("파이썬")
c = a.rfind("파이썬")
print(b, c)
cs

출력값: 0 3

a.find("파이썬")의 값이 0이 나오는 이유는 문자열의 시작 인덱스는 0이기 때문.

 

5. 문자열과 in 연산자

문자열 내부에 내가 원하는 문자열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in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1
2
a = "애플 주식 화이팅"
print("애플" in a)
cs

애플이라는 글자가 a 안에 있기 때문에 출력 값은 True입니다.

 

반응형
'Python/개념 및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마스터 하기 4-2. if - else & elif
  • python 마스터 하기 4. if 조건문
  • Python 마스터 하기 2. 변수와 입력
  • Python 마스터 하기 1. 문자열
코딩하는_대학생
코딩하는_대학생
Java Developer, Open Source Enthusiast, Proud Son
  • 코딩하는_대학생
    코딩하는 대학생에서 개발자까지
    코딩하는_대학생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7)
      • 코딩하는 대학생의 책 추천 (8)
        • 클린코드 (5)
        •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 (3)
      • Backend (7)
        • Spring (14)
        • AWS (3)
        • 회고 (4)
        • Redis (5)
        •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본 백엔드 (3)
      • Python (35)
        • 개념 및 정리 (15)
        • 백준 문제풀이 (20)
      • JAVA (17)
        • 개념 및 정리 (14)
        • 백준 문제풀이 (2)
      • 왜? (7)
      • C언어 (42)
        • 개념 및 정리 (9)
        • 백준 문제풀이 (32)
      • 개인 공부 (27)
        • 대학 수학 (5)
        • 대학 영어 (10)
        • 시계열데이터 처리 및 분석 (5)
        • 컴퓨터 네트워크 (6)
        • 운영체제 (1)
      • 솔직 리뷰 (23)
        • 꿀팁 (6)
        • IT기기 (1)
        • 국내 여행 (7)
        • 맛집 (2)
        • 알바 리뷰 (2)
      • 대외활동 (17)
        • 체리피우미 3기 (4)
        • 꿀잠이들 6기 (13)
      • 음식 평가 (1)
      • 일상 & 근황 (2)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코딩하는_대학생
Python 마스터 하기 3. 문자열 함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