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AWS

· Backend/AWS
https://solution-is-here.tistory.com/178 AWS 2. AutoScaling 적용해보기 (1편) AWS Auto Scaling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용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유지합니다. 우리가 실제로 서비스를 배포할 때 꼭 필요한 기 solution-is-here.tistory.com 위 글을 보고 오셔야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AutoScaling을 하기 위해서는 Load Balancer도 필요하지만 Image가 필요합니다. 이때 Amazon machine Image(AMI)란? EC2에서 실행할 수 있는 가상 시스템의 정의입니다. AMI에는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기타 구성 요소가 포함됩니다. 1. A..
· Backend/AWS
AWS Auto Scaling은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고 용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유지합니다. 우리가 실제로 서비스를 배포할 때 꼭 필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때 서버나 네트워크 장치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 대상으로 분산시키는 기술을 로드 밸런싱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을 보면 ALB(Applicatoin Load Balancer)을 통해 Load Balancing을 하고 있다. 크게 보면 로드 밸런서는 들어오는 트래픽을 여러 서버로 분산하여 오토스케일링 그룹은 서버의 인스턴스의 수를 자동으로 확장 또는 축소합니다. 1. LoadBalancer에서 만들 Security Group을 만들어줍니다. 이때 Load Balancers에서 HTTP, ..
· Backend/AWS
강의를 듣기전 준비 해야 할 것 : AWS 회원가입 1. AWS에서 EC2를 검색한다. 이때 Region이 Seoul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2. 인스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방화벽(Security Group)이 필요하다. * 서버를 만들기 위해서는 방화벽이 필요하기 때 옆에 있는 메뉴바에서 Security Group을 고른 뒤, Create Security Group을 누른다. 3. HTTP, HTTPS, SSH을 허용해야되기 때문에 Inbound rules에서 HTTP, HTTPS, SSH을 추가해준다. HTTP란? WWW(World Wide Web)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HTTPS란? HTTP의 보안버전으로,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을 제공합니다. SSH란? SSH는 네트워크..
코딩하는_대학생
'Backend/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