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공부/대학 영어

4 형식 동사는 두 개의 목적어를 취하는 동사로 수여 동사라고도 부른다. 또한 전치사를 이용해 3형식 문장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3 형식 문장에서 전치사구는 부사구의 역할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직접목적어와 간접 목적어의 순서를 바꾸며 전치사 + 간접 목적어를 하면 부사구가 된다. (전치사 + 간접목적어는 부사구이므로, 꼭 있을 필요는 없다) 4 형식 동사 리스트 (give 주다 tell 말하다 send 보내다 offer 제공하다 teach 가르치다 lend 빌려주다 show 보여주다 bring 가져오다 grant 수여하다 sell 팔다) => 4 형식에서 3 형식 될 때 전치사 to 사용 buy 사다 make 만들다 get 얻다 build 만들다 find 찾다 => 4 형식에서 3 형식 될 때 전치사 ..
3형식 부터는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목적어가 있으며,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 및 명사 상당어구인 대명사, 부정사, 동명사, 명사절이 올수 있다. 또한 동사의 목적어가 있으므로, 수동태를 만들수 있다. 3형식의 목적어는 전치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3형식 동사 단어는 우리말 함정이 있다. 예를 들면 we reached the border at night 우리는 밤에 국경에 도달했다. 영어를 보고 해석을 하면 이렇게 되지만 해석을 보고 영어를 유추하면 ~에 도달하다를 보고 reach to ~로 오해할수 있다. 그러므로 3형식 동사 단어들은 무조건 외워야 한다! reach: ~에 닿다, resemble ~ 를 닮다, await ~ 을 기다리다, attend ~에 참석하다, approach ~에 접근하다, marry..
먼저 공부했던 1 형식은 주어 동사 부사로 구성되는 문장을 가지고 있었다. 이번 시간에 공부할 2 형식은 1 형식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을 가지고 있다. 2 형식의 구조는 S(주어) +V(동사) + SC(주격 보어)로 이루어져 있다. 2 형식에 주격 보어가 들어가는 이유는 2 형식의 동사는 1 형식과는 달리 혼자서는 의미가 완성되지 않아 의미를 완성시켜주는 주격보어를 넣어줘야 한다. 주격 보어 자리에는 명사나, 형용사 상당 어구, 전치사 명사구만 쓰일 수 있고, 부사는 쓸 수 없다. 2 형식의 동사도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므로, 수동태를 만들 수 없다. 2 형식은 동사에 따라 문장의 구조가 다르므로, 동사를 말하면서 문장의 구조를 설명하겠다. 1. (계속동사) keep, remain, lie, stand, ..
The boy ran fast The sun rises in the east 이 두 문장의 공통점이 무엇인가 바로 S(주어) + V(동사) + ADV(부사)이다. 1 형식은 주어 - 동사 - 부사로 문장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사가 완전자동사여야 한다. 완전 자동사란 뒤에 목적어나 보어를 취하지 않으며, 수식어인 부사만 취하는 동사다. 또한 목적어를 취하지 않으므로, 수동태로 만들 수 없다. 1 형식 동사 리스트 be 있다, exist 존재하다, come 오다, go 가다, 진행되다, work 일하다, 작동되다, live 살다, occur = happen = arise = take place = break out 발생하다, 일어나다, appear 나타나다, 출현하다 disappear ..
코딩하는_대학생
'개인 공부/대학 영어'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